2015.6.20.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YBCA를 다녀왔다.


퍼포먼스 아트를 전시장에서 만난건 처음이었다.

이 많은 작가들 중에 이름을 안건 Coco Fusco뿐. (공부 좀 해라!)

퍼포먼스라는게 그렇듯, 개념적인 작업들이 많아서 

이번 전시는 좀 공부한다는 느낌으로 관람에 임했다. 


전시 서문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있었던 관객참여형 작업



신문으로 전통적으로 여성의 일이라고 딱지붙은 바느질을 하는 작업.

신문은 아무 신문이나 가져다 놓은걸까.

신문으로 뜨개질을 한다는건 어떤 의미일까.

여성의 일이라고 낙인찍혀진 일을 모두가 다 한다는건 또 어떤 의미일까.

이 작가의 설명은 따로 기록해오지 않아서 리서치가 더 필요하다.





Say It Loud! I'm Black and I'm Proud!

Black의 반대는 White인가?

93년 휘트니 비엔날레의 Daniel Joseph Martinez의 작업

I can't imagine ever wanting to be white.

이 문득 떠올랐다.


나는 미국에서 공부했지만 흑인과의 조우가 잦았던 편은 아니다.

그럼에도 몇 없던 아는 흑인 중 친구라고 생각했던 흑인 친구에게 배신당했던 기억은 있다.

사람은 색같은 외형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다.

겪어봐야 알 일이니 말이다. 





저 칠판들을 처음 봤을때는 이것이 인터랙티브 아트라는 생각은 못하고

그냥 저기 저렇게 있는갑다 생각했다.

이제와서 찍어온 설명을 다시 읽으며 그 뜻을 알게되었네.









설명의 마지막 줄이 인상깊다.

프레임 안에 들어가는 모든 것이 '예술'이 된다라...











이 작품... 너무 아팠다.

퍼포먼스를 직접 보지는 못했는데 칼로 혀에 상처를 내 그 피로, 혀에 피가난채로 전시장 벽에 선을 그은 작품.

피를 싫어하는 나로서는 정말 진저리가 쳐지는 작품이었고.

어떻게 이런 작품을 할 수 있을지...

자기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상처를 내가면서...

흑인으로 산다는 것은 어떨까.

여자로 산다는 것은...

이런 마크메이킹이야 말로 진짜인것 같다.

'나 여기 존재해요' 정도가 아닌,

'내가 여기 힘겹고 고통스럽게 존재하고 있어요' 라고 말을 하니 말이다.






이것 또한 꽤나 고통스러웠던 작업이다.

Pope L이 며칠간 월스트리트 저널을 우유와 케첩의 힘을 빌려 먹고 똥으로 누는 퍼포먼스를 비디오로 기록했다고 한다.

이 전시에서 맨 처음 보았던 전시에도 신문지로 뜨개질을 하는 작품이 나오는데,

신문이라는 매개체가 무언가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이 백인 우월주의에 편승해 편파적으로 보도하는 신문을 질타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은 그저 나의 짐작일 뿐이다.

신문을 먹는다. 그걸 완전히 체화해서 똥으로 뱉어낸다.

신문은 결국 똥이라는 뜻일 수도 있을 것 같다.

많은 질문이 샘솟는 작업이었다.



노상방뇨하는 사진을 찍었다고 생각했는데, David Hammons가 한 퍼포먼스를 다시 했다는 것 같다.

그는 흑인 퍼포먼스 예술가의 발자취를 좇는 작업들을 한다고.





꿈과 희망이 병에 담겨있고, 그것은 $19.99라고 한다.




David Hammons. 큰 이름이다.

그림을 그렸다고 생각했던 것이 실제 몸을 눌러 찍은 판화라고 한다.

한쪽 벽면에는 Bliz-aard Ball Sale이 상영되고 있었는데,

설명에 나온 것 처럼 작위적인 미술 시장과 노동자계급의 믿을 수 없는 경제사정에 대해 말하고 있다고 하는데,

사실 나는 연관관계를 잘 모르겠다.

공부를 더 해봐야겠다.









이 작업도 참.. 씁쓸했던 작업이다.

유색인종이 백인처럼 되기위해, 자신의 문화와 외형까지도 버린 사례가 마이클잭슨을 포함해서 나와있고,

블리치 크림, 머리를 직모로 바꿔주는 제품들이 진열되어 있다.

We make minorities into majorities!라니...

씁쓸하지만 이것이 현실이지 않을까.



Posted by montage